본문 바로가기
렉사일(Lexile) AR(Accelerated Reader)/렉사일 AR 2단계 (321–640)

📦 Sustainable Bakes :: 건강한 빵의 비밀 🍞🌱 [NF-Lv.2] [렉사일(Lexile)/AR]

by 홈스쿨링대디 2025. 4. 23.
728x90

 

듣기연습 | 출력하기 | 따라말하기 | 문제풀이 | 해석보기 | 정답확인 | 단어암기 | 설명보기 | 말하기연습

 

 

렉사일(Lexile)이란?

 

너무 어려운 책을 읽으면 흥미를 잃고, 너무 쉬운 책만 읽으면 실력이 늘지 않아요. 렉사일 지수를 활용하면 딱 맞는 책을 찾아줄 수 있어요!
연구에 따르면, 자신의 렉사일 지수보다 50L 아래에서 100L 위 정도의 책을 읽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고 해요. 이해할 수 있으면서도 약간 도전적인 수준이기 때문이죠.

 

 

렉사일 자세히 알아보기 ➡️ https://wonhada.tistory.com/128

 

 

 

반응형


 

 

 

 

728x90

Juelria-english.pdf
1.82MB

 

 

 

 

SMALL

 

In a small town, a bakery named "Orima's Oven" opened.
They used no artificial colors or flavors.
People liked the natural ingredients.
Some breads were vegan and gluten-free.
This helped people with special diets.
The bakery worked with local farmers.
They used fresh apples, sweet potatoes, and corn.
This helped the town’s economy grow.
Each bread had a story from the town.
One bread was called "Harvest Hill Loaf."
It was made with wheat from a nearby farm.
People felt connected when they ate it.
Orima also made a website for orders.
People could choose and pay online.
They offered fast delivery to homes.
She also posted photos on Instagram.
The bread looked tasty and healthy.
More people followed her bakery account.
Orima believed healthy food should be easy to get.
She made sure it was fresh and full of care.

 

 

 

 

[문제 1] 단어

다음 중 "artificial"의 의미와 가장 가까운 것은?

① natural
② fake
③ soft
④ large


[문제 2] 단어

다음 중 "gluten-free"와 가장 관련 있는 것은?

① contains milk
② has wheat
③ no wheat
④ spicy taste


[문제 3] 단어

다음 중 "delivery"의 올바른 의미는?

① a kind of bread
② a farm tool
③ sending things to homes
④ a cooking method


[문제 4] 단어

다음 중 "connected"의 의미에 가장 가까운 것은?

① separated
② joined
③ cooked
④ broken


[문제 5] 단어

다음 중 "platform"이 이야기에서 의미하는 것은?

① a high hill
② a kind of bread
③ a digital place to order
④ a kitchen table


[문제 6] 빈칸 채워넣기

The bakery used no ______ colors or flavors.

① real
② soft
③ artificial
④ bright


[문제 7] 빈칸 채워넣기

Some breads were good for people with ______ diets.

① random
② special
③ usual
④ wrong


[문제 8] 빈칸 채워넣기

They offered fast ______ to homes.

① singing
② delivery
③ pictures
④ driving


[문제 9] 내용 이해

Orima가 지역 농산물을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① 재료를 더 싸게 사기 위해
② 농장을 사기 위해
③ 지역 경제와 함께 성장하기 위해
④ 유명해지기 위해


[문제 10] 내용 이해

왜 사람들은 'Harvest Hill Loaf'를 좋아했나요?

① 무지개 색이라서
② 맛이 짜서
③ 이야기와 연결되어 있어서
④ 배달이 느려서


[문제 11] 내용 이해

Orima가 온라인 주문을 도입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① 빵을 안 팔기 위해
② 더 많은 손님에게 편하게 제공하기 위해
③ 인터넷을 배우기 위해
④ 직원이 없어서


[문제 12] 내용 이해

How did social media help Orima's bakery?

① It made bread sweeter
② It helped her talk to cows
③ It brought more people to her bakery
④ It stopped people from ordering


[문제 13] 내용 이해

Why did each bread have a story?

① To make it harder to eat
② To help connect people to the town
③ To confuse the customers
④ To make the bread expensive


[문제 14] 쓰기

자신의 지역 특산물 중 하나를 떠올려, 그것을 사용한 요리를 상상해보세요. 그리고 그 요리가 어떤 이야기와 연결될 수 있는지 간단한 글을 써보세요.

 

 

 

 

작은 마을에 "오리마의 오븐"이라는 빵집이 열렸어요.
그들은 인공 색소나 향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았어요.
사람들은 자연 재료로 만든 빵을 좋아했어요.
그 중 일부 빵은 비건이었고 글루텐 프리였어요.
이것은 특별한 식단을 가진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었어요.
빵집은 지역 농부들과 협력했어요.
그들은 신선한 사과, 고구마, 옥수를 사용했어요.
이것은 마을 경제가 성장하는 데 기여했어요.
각 빵에는 마을의 이야기가 담겨 있었어요.
그 중 하나는 "하베스트 힐 로프"라는 이름의 빵이었어요.
이 빵은 근처 농장에서 자란 밀로 만들었어요.
사람들은 그것을 먹을 때 서로 연결된 느낌을 받았어요.
오리마는 온라인 주문을 위한 웹사이트도 만들었어요.
사람들은 온라인에서 선택하고 결제할 수 있었어요.
그들은 빠른 배달 서비스를 제공했어요.
오리마는 인스타그램에 사진도 올렸어요.
빵은 맛있고 건강해 보였어요.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그녀의 빵집 계정을 팔로우했어요.
오리마는 건강한 음식은 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고 믿었어요.
그녀는 그것이 신선하고 정성스럽게 만들어지도록 했어요.

 

 

 

 

  1. ② fake
  2. ③ no wheat
  3. ③ sending things to homes
  4. ② joined
  5. ③ a digital place to order
  6. ③ artificial
  7. ② special
  8. ② delivery
  9. ③ 지역 경제와 함께 성장하기 위해
  10. ③ 이야기와 연결되어 있어서
  11. ② 더 많은 손님에게 편하게 제공하기 위해
  12. ③ It brought more people to her bakery
  13. ② To help connect people to the town
  14. 쓰기 예시
  • I live near a pear farm.
  • We make pear tarts with cinnamon.
  • My grandma says pears mean kindness.
  • So the tart is called "Kindness Pie."

 

 

 

 

artificial 인공적인 The bakery used no artificial colors. 그 빵집은 인공 색소를 사용하지 않았어요.
gluten-free 글루텐이 없는 Some breads were gluten-free. 어떤 빵은 글루텐이 없었어요.
delivery 배달 They offered fast delivery to homes. 그들은 집으로 빠른 배달을 제공했어요.
connected 연결된 People felt connected when they ate it. 사람들은 그걸 먹으며 연결감을 느꼈어요.
platform 플랫폼, 시스템 They used an online platform for orders. 그들은 주문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을 썼어요.
special 특별한 Good for people with special diets. 특별한 식단이 있는 사람들에게 좋아요.
flavors 맛들 No artificial colors or flavors. 인공 색소나 맛은 없어요.
fresh 신선한 They used fresh apples. 신선한 사과를 썼어요.
economy 경제 Helped the town's economy grow. 마을의 경제 성장을 도왔어요.
story 이야기 Each bread had a story. 모든 빵에는 이야기가 있었어요.
farmers 농부들 They worked with local farmers. 지역 농부들과 함께 일했어요.
ingredients 재료 People liked the natural ingredients. 사람들은 자연 재료를 좋아했어요.
Instagram 인스타그램 She posted on Instagram. 그녀는 인스타그램에 게시했어요.
natural 자연적인 They used natural ingredients. 자연적인 재료를 썼어요.
website 웹사이트 She made a website for orders. 그녀는 주문용 웹사이트를 만들었어요.
orders 주문 People could choose and pay online. 사람들은 온라인으로 고르고 결제했어요.
town 마을 A bakery in a small town. 작은 마을의 빵집이에요.
healthy 건강한 The bread looked healthy. 그 빵은 건강해 보였어요.
easy 쉬운 Healthy food should be easy to get. 건강한 음식은 쉽게 구할 수 있어야 해요.
care 정성 Full of care. 정성이 가득했어요.

 

 

 

 

 

In a small town, a bakery named "Orima's Oven" opened.
"작은 마을에 '오리마의 오븐'이라는 빵집이 문을 열었어요."

  • 직독직해: 작은 마을에서 / '오리마의 오븐'이라는 빵집이 / 열렸어요.
  • 관용구: "named"는 "~라는 이름의"라는 뜻이에요.
  • 비슷한 문장: A school named “Starfield” was built.

They used no artificial colors or flavors.
"그들은 인공 색소나 인공 향료를 사용하지 않았어요."

  • 직독직해: 그들은 사용하지 않았다 / 인공 색소나 향료를.
  • 단어: "artificial"은 인공적인, 자연이 아닌 것을 의미해요.
  • 비슷한 문장: These candies have no artificial sweeteners.

People felt connected when they ate it.
"사람들은 그것을 먹을 때 연결되어 있다고 느꼈어요."

  • 직독직해: 사람들은 느꼈다 / 연결됨을 / 그걸 먹을 때.
  • 문법: 'feel + 형용사'는 감정을 표현하는 일반적인 구조예요.
  • 비슷한 문장: I felt happy when I saw her.

 

 

 

 

장면 설명하기 🎙️

맛 표현하기 🎙️

 

 

 

수고하셨어요!


매일 매일 연습하다보면 나도 모르게 영어 사고가 익숙해 지는 날이 반드시 옵니다!

영어로만 생각하고 말하기 + 반복하기 = 영어 완전 정복!!

 

728x90